그런데 태왕사신기 판결에서 의아한 점은...

일단 전체적인 판결문을 아직 못 읽어봤습니다만, 현재 나와있는 기사들에 나온 것만
가지고 보면, 판결의 요점은 대략 2가지입니다.

1. 시놉시스란 최종적으로 완성된 저작물이 아니기 때문에, 저작권의 침해가 애초부터
이루어질 수 없다.

2. 설사 시놉시스를 완성된 저작물로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역사적 사실은 공공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절의 대상이 될 수가 없다.

2번에 대해선 '청룡, 백호, 주작, 현무 등의 사신이 왕을 보좌한다는 내용이 대체 어느 나라
역사적 사실이란 말이냐?'라는 반론이 이미 많이 제기되고 있으니 일단 넘어갑시다. 다만,
몇몇 분들께서도 지적하셨듯이, 저 판결의 취지로 볼 때, 시놉시스가 아닌 완성된 드라마
에서 똑같은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도 판결은 달라질 것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 2번은
'완성된 저작물'이라면 무엇이든 똑같이 적용되는 논리일테니까요.

문제는 1번입니다. 정말로 시놉시스란 것은 저작물의 자격이 없단 말인가요? 저는 법률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만, 일단 시놉시스 자체가 저작물로서의 자격이 없다면, 스스로부터
우선 저작권을 보호 받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다른 저작물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도 없다는
논리가 성립되는 듯 싶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권리도 뭐도 없는 '유령'이란 말이 되네요.
그러니까 유령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애초부터 유령이 타인을 때려서 다치게 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논리가 되나 봅니다.

그런데 정말 시놉시스란 게, 저작권을 침해하고 싶어도 침해할 수 없을 만큼 완성된 저작물
로서의 자격이 없다면, 김종학 프로덕션측은 그런 지극히 불완전한 것으로 수백억의 투자를
유치하고 수많은 홍보 행사로 자사의 이미지를 높이는 등, 유무형의 경제적 이익을 취했다는
말이 되는군요. 즉, 법적으로 존재를 인정받기 어려운 '유령'을 내세워 그렇게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다는 말이 됩니다. 납득하기 힘드네요. 영화나 드라마의 투자 설명회에선 그런 식으로
종종 시놉시스 혹은 기획안만으로 투자자들의 주머니를 열게 하려고 한다고 들었는데, 시놉
시스나 기획안 따위가 저작물로서의 자격이 없는 '유령'에 지나지 않는다는 건 어쩐지 상식적
으로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법과 상식 사이의 괴리일까요?

저작물로 보호되는 창작물의 범위는 꽤 넓다고 들었는데, 시나리오의 기획안 혹은 시놉시스
는 거기 포함되지 않는다는 말일까요? 그렇다면 시놉시스 단계에 있는 작품들은 누구든 마음
대로 갖다 써도 좋다는 것인데... 물론 제가 스타워즈의 시놉시스만 갖고 대본을 쓴다고 해도,
지금의 스타워즈만한 작품을 쓸 수 있을리 만무합니다만, 그래도 '저작물이 아니니 마음대로
갖다 써도 저작권 침해가 안되고, 또한 아무리 다른 작품과 비슷해도 표절이 아니다.'라는 건
어쩐지 이상합니다. 단순히 제 상식이 잘못되었을 뿐인 건지 모르겠지만요.

하여튼 저작권이라는 게 참 복잡한 듯 싶습니다. 언젠가 날 잡고 열심히 연구해서 깨달음(?)
이라도 얻어봐야 하겠네요. -_-a

핑백

  • 검푸른 새벽의 늑대 : 태왕사신기 - 표절의 기준이 뭐야? 2007-09-11 20:28:07 #

    ... - 한국 순정만화의 죽음에 부쳐 ◀ - 사이암님저작권법은 도대체 무엇을 위한 저작권법인가 - 지니님태왕사신기 관련 표절 판결.. - 아레스님그런데 태왕사신기 판결에서 의아한 점은... - 고독한별님태왕사신기 저작권침해 아니다? - 유감이다 - 산왕님'태왕사신기'판결 고찰.. - yakii님아직 끝난 거 아니다. 흥분하지 말 ... more

덧글

  • 세류 2006/07/03 01:40 # 답글

    힘(돈)있는 자들의 횡포라고 생각되는 결과입니다. 만화라는 컨텐츠 자체를 매우 무시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고요. 이래서야 누가 무서워서 창작물 만들어내겠습니까? 그리고, 아무래도 그들은 바람의 나라가 역사책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 고독한별 2006/07/03 03:00 # 답글

    만약 그동안 누가 태왕사신기 시놉시스로 먼저 시나리오를 완성해서 저작권 등록까지 해버렸다면...
    저 판결 취지에 따르면, 김종학 프로덕션에서 과연 그 완성된 시나리오가 자기네 시놉시스를 표절한
    거라고 소송을 걸 수 있을지 심히 헷갈립니다. -_-a
  • Dataman 2006/07/03 03:15 # 답글

    시놉시스는 일종의 습작이기 때문에 판결에서 이 부분의 취지는 타당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시놉시스 자체로는 이익을 창출하지 않는다는 점도 보아야 하고요.
  • 고독한별 2006/07/03 03:40 # 답글

    글쎄요. 시놉시스가 정말 이익을 창출하지 않는지, 습작에는 저작권이 정말 없는지...
    저로서는 함부로 결론 내리기 어렵지만, 상당히 논란이 될 만한 문제 같네요. (여기에
    대해서는 누가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도 저작물이냐와 같은 문제라고 하기도...)
  • 존다리안 2006/07/03 13:04 # 답글

    저는 시놉시스 역시도 완성된 작품의 일부라 봅니다. 기획안에 시놉이 포함이 되고 다음에 시나리오 작업으
    로 들어간다고 알고 있습니다.
    만약 시놉시스 자체에 표절이 있다면 이건 분명한 표절입니다.
    -문제는 이걸 분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 siguld 2006/07/03 14:48 # 삭제 답글

    저 판결대로라면 실제 제작에 들어가지도 않을 시놉시스를 굳이 표절의혹까지 받아가면서 만들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시놉시스'라는 단계는 구상 단계를 이미 뛰어넘어 앞으로의 작업에 있을 프로토타입을 세워놓은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미술이라면 조각을 할 때 청동을 부어넣을 틀 정도라고 할까요. 뭐, 청동을 붓고 나서 틀을 제거한 후에 표면에 사포질은 합니다만... 그렇다고 틀에서 뽑아낸 모양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즉, 시놉시스를 보고 떠올릴 수 있는 결과는 제작상 엄청나게 큰 결함이나 시놉시스 자체의 폐기가 없다면 바뀔 수 없는 결과라는 뜻입니다. 저걸 어떻게 완성과 관계없다고 하는지 참 궁금합니다.
  • 존다리안 2006/07/03 15:30 # 답글

    문득 알게 된 사실이 있어 트랙백합니다. 이 판결은 그 사실에 따른다면 심각한 문제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블랙)

4771114
7528
36785384

놀이터 안내판

본 블로그는 완전히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며, 홍보성 게시물은 영리나 비영리를 불문하고 즉시 삭제됩니다. 본 블로그에서 개인적 감상 및 리뷰 작성을 위해 인용된 글이나 이미지 등의 저작권은 모두 원저작자에게 속해 있습니다. 그 인용을 통해 어떤 경제적 이익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요청이 있을 시 즉각 삭제합니다. 본 블로그의 게시물 중에서 독자적으로 창작한 내용들은 출처를 밝히시고 문맥 등을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를 자유롭게 인용하셔도 좋습니다. 특히 텍스트를 그대로 복사해 가실 경우에는 출처로 링크를 꼭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2ch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등은 저에게 아무런 권리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퍼가셔도 이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