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nicomi.livedoor.biz/archives/1402103.html
인기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서적들의 매상이 얼마나 올랐는가 하는 분석글을 종종 올리곤
하는 것으로 유명한 일본의 한 서점 직원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2011년 10월 시즌 애니메
이션과 관련된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더군요. 원작이 있으면 원작 만화나 소설을, 원
작이 서적이 아니면 그 코미컬라이즈판을 다룬 것 같은데요. (가령, '새하얀색 심포니'는
원작이 미소녀 게임이지만, 이 통계에서는 '카도카와'에서 내놓은 만화책을 다루고 있는
식입니다.) 블로그에 올라온 통계 자료를 번역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10월 시즌 애니메이션 관련 소설 및 만화의 판매책수
- 1위 : 나는 친구가 적다 (1000포인트)
- 2위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649포인트)
- 3위 : 미래일기 (606포인트)
- 4위 : 마켄키 (530포인트)
- 5위 : 페르소나4 (421포인트)
- 6위 : 너와 나 (412포인트)
- 7위 : 페이트 제로 (410포인트)
- 8위 : WORKING (337포인트)
- 9위 : 도시락전쟁 (322포인트)
- 10위 : C3 - 시큐브 (314포인트)
- 11위 : 헌터x헌터 (253포인트)
- 12위 : 치하야후루 (210포인트)
- 13위 : 침략 이카무스메 (153포인트)
- 14위 : 진지하게 나를 사랑해 (149포인트)
- 15위 : 바쿠만 (122포인트)
- 16위 : 세계 제일 첫사랑 (112포인트)
- 17위 : 새하얀색 심포니 (101포인트)
- 18위 : 작안의 샤나 (63포인트)
* 9월 대비 10월 매상 비율 (책수 기준. 9월과 10월이 똑같이 팔렸으면 100%)
- 1위 : 새하얀색 심포니 (3000%)
- 2위 : C3 - 시큐브 (1561%)
- 3위 : 미래일기 (1084%)
- 4위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985%)
- 5위 : 마켄키 (668%)
- 6위 : 진지하게 나를 사랑해 (532%)
- 7위 : 도시락전쟁 (505%)
- 8위 : 페이트 제로 (503%)
- 9위 : 너와 나 (445%)
- 10위 : 페르소나 4 (366%)
- 11위 : 침략 이카무스메 (311%)
- 12위 : 치하야후루 (298%)
- 13위 : 작안의 샤나 (280%)
- 14위 : WORKING (275%)
- 15위 : 세계 제일 첫사랑 (263%)
- 16위 : 나는 친구가 적다 (231%)
- 17위 : 헌터x헌터 (223%)
- 18위 : 바쿠만 (118%)
* 인기지표 (판매책수 x 매상비율 / 100 = 인기지표)
- 1위 : 미래일기 (6565포인트)
- 2위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6393포인트)
- 3위 : C3 - 시큐브 (4901포인트)
- 4위 : 마켄키 (3536포인트)
- 5위 : 새하얀색 심포니 (3017포인트)
- 6위 : 나는 친구가 적다 (2307포인트)
- 7위 : 페이트 제로 (2062포인트)
- 8위 : 너와 나 (1833포인트)
- 9위 : 도시락전쟁 (1626포인트)
- 10위 : 페르소나4 (1542포인트)
- 11위 : WORKING (926포인트)
- 12위 : 진지하게 나를 사랑해 (791포인트)
- 13위 : 치하야후루 (627포인트)
- 14위 : 헌터x헌터 (560포인트)
- 15위 : 침략 이카무스메 (477포인트)
- 16위 : 세계 제일 첫사랑 (294포인트)
- 17위 : 작안의 샤나 (175포인트)
- 18위 : 바쿠만 (144포인트)
이렇게 보면, '새하얀색 심포니' (마시로색 심포니)의 만화책이 엄청나게 많이 팔린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새하얀색 심포니'의 만화판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가, 이번에
갑자기 한꺼번에 구입하려는 사람이 몰렸기 때문에 매상이 30배로 뛴 것이랍니다. 그와 반
대로, '나는 친구가 적다' 같은 경우는 진작부터 잘 나가고 있던 소설이었기 때문에 상대적
으로 매상 증가가 둔해 보이는 것뿐이라고 하네요. 그외 너무 두꺼워서 독자들이 좀 부담스
러워 하고 있던 '경계선상의 호라이즌'의 매상이 많이 늘어난 것도 인상적이라고, 이 통계를
작성한 서점 직원분께서는 말씀하고 계시더라고요. 언제 봐도 재미있는 자료입니다. (헐헐)
인기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서적들의 매상이 얼마나 올랐는가 하는 분석글을 종종 올리곤
하는 것으로 유명한 일본의 한 서점 직원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2011년 10월 시즌 애니메
이션과 관련된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더군요. 원작이 있으면 원작 만화나 소설을, 원
작이 서적이 아니면 그 코미컬라이즈판을 다룬 것 같은데요. (가령, '새하얀색 심포니'는
원작이 미소녀 게임이지만, 이 통계에서는 '카도카와'에서 내놓은 만화책을 다루고 있는
식입니다.) 블로그에 올라온 통계 자료를 번역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10월 시즌 애니메이션 관련 소설 및 만화의 판매책수
- 1위 : 나는 친구가 적다 (1000포인트)
- 2위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649포인트)
- 3위 : 미래일기 (606포인트)
- 4위 : 마켄키 (530포인트)
- 5위 : 페르소나4 (421포인트)
- 6위 : 너와 나 (412포인트)
- 7위 : 페이트 제로 (410포인트)
- 8위 : WORKING (337포인트)
- 9위 : 도시락전쟁 (322포인트)
- 10위 : C3 - 시큐브 (314포인트)
- 11위 : 헌터x헌터 (253포인트)
- 12위 : 치하야후루 (210포인트)
- 13위 : 침략 이카무스메 (153포인트)
- 14위 : 진지하게 나를 사랑해 (149포인트)
- 15위 : 바쿠만 (122포인트)
- 16위 : 세계 제일 첫사랑 (112포인트)
- 17위 : 새하얀색 심포니 (101포인트)
- 18위 : 작안의 샤나 (63포인트)
* 9월 대비 10월 매상 비율 (책수 기준. 9월과 10월이 똑같이 팔렸으면 100%)
- 1위 : 새하얀색 심포니 (3000%)
- 2위 : C3 - 시큐브 (1561%)
- 3위 : 미래일기 (1084%)
- 4위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985%)
- 5위 : 마켄키 (668%)
- 6위 : 진지하게 나를 사랑해 (532%)
- 7위 : 도시락전쟁 (505%)
- 8위 : 페이트 제로 (503%)
- 9위 : 너와 나 (445%)
- 10위 : 페르소나 4 (366%)
- 11위 : 침략 이카무스메 (311%)
- 12위 : 치하야후루 (298%)
- 13위 : 작안의 샤나 (280%)
- 14위 : WORKING (275%)
- 15위 : 세계 제일 첫사랑 (263%)
- 16위 : 나는 친구가 적다 (231%)
- 17위 : 헌터x헌터 (223%)
- 18위 : 바쿠만 (118%)
* 인기지표 (판매책수 x 매상비율 / 100 = 인기지표)
- 1위 : 미래일기 (6565포인트)
- 2위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6393포인트)
- 3위 : C3 - 시큐브 (4901포인트)
- 4위 : 마켄키 (3536포인트)
- 5위 : 새하얀색 심포니 (3017포인트)
- 6위 : 나는 친구가 적다 (2307포인트)
- 7위 : 페이트 제로 (2062포인트)
- 8위 : 너와 나 (1833포인트)
- 9위 : 도시락전쟁 (1626포인트)
- 10위 : 페르소나4 (1542포인트)
- 11위 : WORKING (926포인트)
- 12위 : 진지하게 나를 사랑해 (791포인트)
- 13위 : 치하야후루 (627포인트)
- 14위 : 헌터x헌터 (560포인트)
- 15위 : 침략 이카무스메 (477포인트)
- 16위 : 세계 제일 첫사랑 (294포인트)
- 17위 : 작안의 샤나 (175포인트)
- 18위 : 바쿠만 (144포인트)
이렇게 보면, '새하얀색 심포니' (마시로색 심포니)의 만화책이 엄청나게 많이 팔린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새하얀색 심포니'의 만화판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가, 이번에
갑자기 한꺼번에 구입하려는 사람이 몰렸기 때문에 매상이 30배로 뛴 것이랍니다. 그와 반
대로, '나는 친구가 적다' 같은 경우는 진작부터 잘 나가고 있던 소설이었기 때문에 상대적
으로 매상 증가가 둔해 보이는 것뿐이라고 하네요. 그외 너무 두꺼워서 독자들이 좀 부담스
러워 하고 있던 '경계선상의 호라이즌'의 매상이 많이 늘어난 것도 인상적이라고, 이 통계를
작성한 서점 직원분께서는 말씀하고 계시더라고요. 언제 봐도 재미있는 자료입니다. (헐헐)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