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 연구소가 오타쿠 시장에 관한 조사를 발표한 듯?

오타쿠 시장, 연애 게임과 온라인 게임이 3할 성장 (일본 아니메 아니메 기사 보기)

일본의 야노 경제 연구소가 일본 국내의 '오타쿠' 시장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쿨 재팬
마켓 / 오타쿠 시장의 철저 연구 2012'라는 제목으로 10월 15일에 발표했답니다. 기간은
2012년 7월부터 9월까지. 사업자 및 업계 단체 등을 대상으로 조사했다는군요. 조사 대상
은 애니메이션, 만화, 라이트노벨, 동인지, 프라모델, 피규어, 인형, 철도 모형, 아이돌, 프
로 레슬링, 코스프레 의상, 메이드 코스프레 관련 서비스, 온라인 게임, 어덜트 게임, AV,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보이즈 러브, 보컬로이드, 성우 관련 상품과 컨텐츠 등이라고 하는
데요.

조사 결과에서 다룬 2011년도 '오타쿠 시장'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의
시장 규모가 전년도 대비 30.4% 증가했고, 온라인 게임 시장규모도 전년도 대비 29.2% 증가
하는 등, 모두 전년도 대비 3할 가량의 증가폭을 보였답니다.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은 각 사
업자가 모바일 단말용으로 게임을 개발하고 서비스한 덕분에 일반 여성 유저가 크게 확대되
었다고 합니다 온라인 게임도 SNS를 통해 제공되는 소셜 게임이 호조를 보여 시장이 확대되
었다고 하네요. SNS 및 동영상 공유 사이트 덕분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측과 유저들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졌다고 합니다.

컨텐츠 제공자와 이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진 대표적인 사례인 보컬로이드 시장의 경우, 2011년
에 전년 대비 14.5% 증가한 63억엔의 시장 규모를 기록했다는데요. 2차 창작이 활발히 행해짐
으로써 보컬로이드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인기로 관련 상품도 다양하
게 발매되는 중이랍니다.

http://www.yano.co.jp/press/press.php/001002

위쪽이 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돈주고 사서 봐야 하는 듯합니다.
자료집의 가격은 10만 5천엔이라고 하네요.

덧글

  • la+ 2012/10/16 09:43 # 삭제 답글

    반면 한국은 말살정책

    일부 만화가들 연재중단 쿨럭
  • 루시펠 2012/10/16 09:49 # 답글

    관련항목에서 [어덜트 게임, AV,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사람들은 그렇게 솔로가 되어갑니다? OTL
  • 엑스트라 2012/10/16 10:16 # 답글

    돈은 될지 몰라도...... 미국, 유럽, 다른 세계에서는 과연 이런 엔터테인먼트가 통하느냐가 문제죠 (있다고는 해도 강남 스타일과 같거나 그이상의 히트를 기대할려면 드레곤볼, 원피스, 나루토급의 작품들이 많이 나와야할터인데....요즘 나오는 오덕 작품들은 원피스 블리치를 넘는건 고사하고 이상하게 보인다는.) 오로지 일본에서만 통하는 문제라면 여가부들이 큰 태클 걸수 있다는.......
  • 최단거리 2012/10/16 11:01 # 삭제

    강남스타일이 뜬 게 대단한 건 맞는데 개그코드가 서양인들과 맞은 것일 뿐 작품성이나 음악성이 특별히 인정받은 건 아니죠. 그리고 꼭 서양에서 통하느냐를 성공의 표준으로 삼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한 사고에는 동양은 열등하고 서양은 우월하다는 일종의 사대주의 의식이 저변에 깔려 있는 것이죠. 현재 애니들의 내용이 보편성을 잃고 취향성으로 흐르는 걸 비판할 수는 있겠지만, 거기에 꼭 서양 진출을 전제로 해서 이야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 엑스트라 2012/10/16 11:04 #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요즘들어 내용들이 취향성만 고집하는 작품이 너무 많다보니 말이죠.
  • abccc 2012/10/16 18:48 # 삭제

    어.. 사대주의일지도 모르지만,
    일단은 직접적인 수익차이 때문에
    서양에서의 성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아닐까요?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블랙)

1251315
6576
36703025

놀이터 안내판

본 블로그는 완전히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며, 홍보성 게시물은 영리나 비영리를 불문하고 즉시 삭제됩니다. 본 블로그에서 개인적 감상 및 리뷰 작성을 위해 인용된 글이나 이미지 등의 저작권은 모두 원저작자에게 속해 있습니다. 그 인용을 통해 어떤 경제적 이익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요청이 있을 시 즉각 삭제합니다. 본 블로그의 게시물 중에서 독자적으로 창작한 내용들은 출처를 밝히시고 문맥 등을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를 자유롭게 인용하셔도 좋습니다. 특히 텍스트를 그대로 복사해 가실 경우에는 출처로 링크를 꼭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2ch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등은 저에게 아무런 권리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퍼가셔도 이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