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의 여성밖에 사랑할 수 없는 남성의 심리란? (마이나비 뉴스 기사 보기)
살아있는 여성보다 2차원의 여성을 더 좋아하는 남성들의 심리에 대해 심리학자의 분석을
들어보았다는 내용의 기사가 눈에 띄더군요. 이 기사에서는 2차원 여성을 좋아하는 심리를
현실의 아이돌을 좋아하는 심리와 비교하고 대조해 가면서 분석하고 있는데요. 질문을 받은
심리학자는 2차원 여성을 좋아하는 남성이 모두 애니메이션 캐릭터에게 성적인 흥미가 있는
것은 아니라면서, 성적인 기호의 측면이 아니라,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2차원 캐릭터' vs
'비록 눈앞에는 없지만 그래도 현실에 존재하는 아이돌'의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
모양입니다.
단어 자체가 '우상'을 의미하는 것처럼, 아이돌은 본래 사람들의 이상을 반영하는 존재로,
과거에는 '아이돌은 화장실에도 가지 않는다'는 이미지가 있을 정도였다고 하는데요. 하지
만 요즘 아이돌은 예전보다 훨씬 친근한 존재로, '조금 예쁘기는 해도, 일반적인 여자 아이
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쪽으로 이미지가 변했답니다. 그렇게 울타리를 낮춘데에는 연예계
나름대로의 의도가 있겠지만, 가공의 '연인'에 대해 추구하는 이상이 높은 남성들로부터는
이상이 깨진데 대한 불만을 살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에 반해 작품 속에서 살아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이상적인 여성'으로서 완성되어
있으며, 상상하지 못한 언동을 무심결에 취하는 바람에 팬들의 기대를 배반하는 사태를
피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 즉, 현대의 남성에게 있어서 2차원의 여성이란, 한 시기전의 아이돌이며, 태고의 여신인
것입니다. 연인에게 추구하는 이상이 높다는 것, 그리고 이상적이라고 생각한 연인에게 배
신당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 남성을 2차원 여성에게 이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라는 게 이 기사에서 인용한 심리학자의 결론이랍니다. 어떻습니까? 그럴 듯한 분석인
것 같습니까? (여느 때처럼 판단은 여러분께 맡기도록 하겠습니다.)
살아있는 여성보다 2차원의 여성을 더 좋아하는 남성들의 심리에 대해 심리학자의 분석을
들어보았다는 내용의 기사가 눈에 띄더군요. 이 기사에서는 2차원 여성을 좋아하는 심리를
현실의 아이돌을 좋아하는 심리와 비교하고 대조해 가면서 분석하고 있는데요. 질문을 받은
심리학자는 2차원 여성을 좋아하는 남성이 모두 애니메이션 캐릭터에게 성적인 흥미가 있는
것은 아니라면서, 성적인 기호의 측면이 아니라,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2차원 캐릭터' vs
'비록 눈앞에는 없지만 그래도 현실에 존재하는 아이돌'의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
모양입니다.
단어 자체가 '우상'을 의미하는 것처럼, 아이돌은 본래 사람들의 이상을 반영하는 존재로,
과거에는 '아이돌은 화장실에도 가지 않는다'는 이미지가 있을 정도였다고 하는데요. 하지
만 요즘 아이돌은 예전보다 훨씬 친근한 존재로, '조금 예쁘기는 해도, 일반적인 여자 아이
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쪽으로 이미지가 변했답니다. 그렇게 울타리를 낮춘데에는 연예계
나름대로의 의도가 있겠지만, 가공의 '연인'에 대해 추구하는 이상이 높은 남성들로부터는
이상이 깨진데 대한 불만을 살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에 반해 작품 속에서 살아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이상적인 여성'으로서 완성되어
있으며, 상상하지 못한 언동을 무심결에 취하는 바람에 팬들의 기대를 배반하는 사태를
피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 즉, 현대의 남성에게 있어서 2차원의 여성이란, 한 시기전의 아이돌이며, 태고의 여신인
것입니다. 연인에게 추구하는 이상이 높다는 것, 그리고 이상적이라고 생각한 연인에게 배
신당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 남성을 2차원 여성에게 이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라는 게 이 기사에서 인용한 심리학자의 결론이랍니다. 어떻습니까? 그럴 듯한 분석인
것 같습니까? (여느 때처럼 판단은 여러분께 맡기도록 하겠습니다.)
덧글
즉 현실의 인간에게서 도피해서 환상의 인간에게 빠진다는거군요.
오타쿠가 아닌 사람들이 보면 좀 어이없어할? 기사일거같은...
과연 실물을 찍었지만 평면인 스크린 위에 존재하는 이들과 아니메 히로인이 얼마나 차이가 있을지는 고찰이 필요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