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장 온실로부터 바퀴벌레 100만 마리가 도망치다 (시사닷컴 기사 보기)
애니메이션에 대한 얘기는 아닙니다만, 일웹을 돌아다니다 보니까, 중국 동부 장쑤성에
있는 한 도시에서 8월 20일에 약재용으로 바퀴벌레(!)를 양식하고 있던 온실이 누군가에
의해 파괴되었다는 내용의 기사가 화제가 되고 있더군요. 덕분에 키우고 있던 바퀴벌레
100만 마리가 밖으로 도망쳤답니다. 중국 위생 당국은 8월 22일 현장에 직원을 파견하여
대대적인 소독을 실시한 모양입니다.
중국에서는 바퀴벌레가 다양한 한방약의 원료로 쓰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 바퀴벌레 양식
이 증가하고 있다는데요. 인근 주민은 8월 20일에 제복을 입은 사람들이 중장비로 온실을
무너뜨리고 떠났다는 증언도 했답니다. 중국에서는 종종 관공서에서 재개발을 위해 민간
건물을 마음대로 때려부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번에도 그런 경우가 아니냐 하는 의혹이
제기되는 듯. 하지만 시당국은 '우리가 안 그랬다'고 부정한다는군요.
그나저나 저는 약재로 쓰기 위한 바퀴벌레 양식장이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100만마리가 도망쳤다니... 후덜덜합니다. OTL
애니메이션에 대한 얘기는 아닙니다만, 일웹을 돌아다니다 보니까, 중국 동부 장쑤성에
있는 한 도시에서 8월 20일에 약재용으로 바퀴벌레(!)를 양식하고 있던 온실이 누군가에
의해 파괴되었다는 내용의 기사가 화제가 되고 있더군요. 덕분에 키우고 있던 바퀴벌레
100만 마리가 밖으로 도망쳤답니다. 중국 위생 당국은 8월 22일 현장에 직원을 파견하여
대대적인 소독을 실시한 모양입니다.
중국에서는 바퀴벌레가 다양한 한방약의 원료로 쓰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 바퀴벌레 양식
이 증가하고 있다는데요. 인근 주민은 8월 20일에 제복을 입은 사람들이 중장비로 온실을
무너뜨리고 떠났다는 증언도 했답니다. 중국에서는 종종 관공서에서 재개발을 위해 민간
건물을 마음대로 때려부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번에도 그런 경우가 아니냐 하는 의혹이
제기되는 듯. 하지만 시당국은 '우리가 안 그랬다'고 부정한다는군요.
그나저나 저는 약재로 쓰기 위한 바퀴벌레 양식장이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100만마리가 도망쳤다니... 후덜덜합니다. OTL
덧글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는 없을까요
시청광장에 얼마나 사람이 들어찼는지랑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