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S 엔터테인먼트, 빅 데이터 분석을 애니메이션 제작에 활용할 계획

데이터 분석으로 인기 애니메이션을 제작 (IT PRO 기사 보기)

애니메이션의 기획, 제작, 판매를 하는 TMS 엔터테인먼트가 이른바 '빅 데이터'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애니메이션 제작에 반영할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
답니다. 애니메이션의 시청 일시, 회수, 시청 로그 등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에 활용
한다는 건데요. 현재 애니메이션 2천 작품, 5만 에피소드 이상의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 이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기 작품의 호조 요인을 찾고
싶은 듯.

기사에 따르면, TMS는 이용자가 시청한 애니메이션을 기록,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애니x
me'의 제공을 이미 하고 있다는데요. 8월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애니메이션의 그림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면, 그 작품의 제목, 제작진, 성우진 등의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확인할 수가
있는 기능도 추가했답니다. 이미 미국에서는 영화나 연극 등 오락 산업에서 수많은 빅 데이터
분석 회사가 등장하여, 흥행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고 수익 예측을 하는 모델을 확립
하고 있다는데요. 특히나 영화 제작에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흥행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빅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는 모양입니다.

TMS는 그런 빅 데이터 분석을 애니메이션에도 활용할 계획이라는 거죠. 선구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예측 모델의 구축에서부터 해석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답니다. 과연 어떤 성과가 나올지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블랙)

4891081
7397
36778010

놀이터 안내판

본 블로그는 완전히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며, 홍보성 게시물은 영리나 비영리를 불문하고 즉시 삭제됩니다. 본 블로그에서 개인적 감상 및 리뷰 작성을 위해 인용된 글이나 이미지 등의 저작권은 모두 원저작자에게 속해 있습니다. 그 인용을 통해 어떤 경제적 이익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요청이 있을 시 즉각 삭제합니다. 본 블로그의 게시물 중에서 독자적으로 창작한 내용들은 출처를 밝히시고 문맥 등을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를 자유롭게 인용하셔도 좋습니다. 특히 텍스트를 그대로 복사해 가실 경우에는 출처로 링크를 꼭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2ch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등은 저에게 아무런 권리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퍼가셔도 이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