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나아가는 한국 애니메이션 & 캐릭터를 주제로 한 '창조산업과 콘텐츠' 발간

한콘진, ‘창조산업과 콘텐츠’ 발간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 애니~‘ (헤럴드경제 생생뉴스)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홍상표)가 창조경제 핵심동력
으로서의 콘텐츠산업을 심도 있게 분석한 격월간 ‘창조산업과 콘텐츠’3ㆍ4월호(통권 8호)
가 발간됐다. ]

네이버에서 국내 기사를 검색하다 보니까, '창조산업과 콘텐츠' 3, 4월호가 발간되었다는
소식이 눈에 띄던데요. 이번호의 주제는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 애니메이션 & 캐릭터'라고
합니다.

http://www.kocca.kr/cop/createcont/view.do?menuNo=200903&nttNo=9

위쪽 링크에 첨부된 파일(PDF 파일인데 ZIP로 압축되어 있습니다.)을 통해 무료로 보실 수
있으니, 혹시나 관심 있는 분께서는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덧글

  • ? 2014/04/27 00:58 # 삭제 답글

    김치 워리어
  • Megane 2014/04/27 01:08 # 답글

    우리나라는 아직도 홍보동영상의 확장이라든가, 만화는 애들이나 본다는 등의 고정관념이 강한 듯 합니다.
    그리고 작가들도 열심히 하고는 있지만, 작가들의 대우나 작품의 결과물에 대한 대접이 확실히 옆나라 일본과는 다르죠.
    지금도 있을 지 모르겠지만, 만화책 다운받아보는 거 이젠 그만 둘 때도 된 거 같은데...
    그리고 울 정부도 만화는 애들만 본다거나 하는게 아니라 사람의 사단칠정을 움직이는 작품성있는 작품의 지원에 더 크게 써야 한다능.
    또한, 지금의 애니시장에서 전문적인 가수의 오프닝이나 엔딩곡 참여, 그리고 문화컨텐츠가 같이 움직여 줘야 하는데, 아직까진 정부로서도 통일된 정책을 내 놓지 못하거나 중요한 관련법들은 거의 계류상태...
    게다가 규제 풀어준다더니 셧다운제는 합헌......
    김치 워리어같은 건 머 옜날 나왔던 뽀빠이 만화만큼의 인지도도 없는데... 어쩌라는 건지. 게다가 노골적으로 제목에 김치를 넣음으로서 약간 촌스러운 이름이 되어버린 건 아주 많이 아쉬움. 한국의 발효식품은 김치뿐이라는 이야기가 들릴까 겁난다능.
    캐릭터도 벌써 요즘 애들의 기억에선 퇴화했을지도 모를 둘리나 빨고, 뽀로로나 밀어대면 다른 캐릭터들은 어쩌란 거임?
    이번에도 그냥 구경만 하고가는 행사정도로 그칠지 모르겠네요.
  • 쩌글링 2014/04/27 01:52 # 삭제 답글

    한마디로 정리 가능합니다.
    '설레발'
  • クレイトス 2014/04/27 02:02 # 답글

    북흐러운줄 모르는 정부.
  • 마이언 2014/04/27 02:03 # 삭제 답글

    전혀 기대가 안되는....일단 높은 분들의 인식부터 바꿔야...
  • ㅇㅇ 2014/04/27 03:23 # 삭제 답글

    소비자의 말을 들을 귀는 막고, 입만 놀리고있네요
  • sephiroth 2014/04/27 03:50 # 삭제 답글

    과장 짙은 자축에 벌금 매길 순 없나?
  • Nero 2014/04/27 09:28 # 답글

    주댕이만 놀리면 다 해결되는줄 아나 시장도 확보 안해놓고
  • 사과주스 2014/04/27 09:44 # 답글

    헛웃음 나오는 기사네요... 그래서 김치워리어에 세금 낭비하고 "잘만들었은데 왜 깜???" 같은 소리나 하고있나? 창조경제 운운하면서 정작 셧다운제는 합헌... 어쩌자는건지... 나라꼴 어수선할때 귀신같이 법 통과시키는것도 아주 가관입니다.
  • 레로레로레로레로 2014/04/27 11:21 # 삭제 답글

    혀로 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
    그럼 막 결과물은 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로레
  • 그 와중에 2014/04/27 12:21 # 삭제 답글

    세미는 어떻게된거죠?
  • ㅎㅎ 2014/04/27 12:31 # 삭제 답글

    정부가 뭘 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죠. 공무원들 일 제대로 하지도 않고 외부업체에 맡긴다고 해도 뒷돈으로 선정하고.
    그냥 규제나 풀고 냅두는게 상책.
  • Nitro_Nio 2014/04/27 12:34 # 답글

    세계로 나아가기 전에 배나 안 침몰하면 다행이지
    이건 뭐........
  • Anaziah 2014/04/27 12:42 # 답글

    내용 안읽어봤지만 일단 쌍팔년도 시절부터 있는 규제부터 떼고 얘기했으면 차~암 좋겠네요
    업계에서 끊임없이 요구 중인 방송 후 관련상품 cm 금지규제 랑, 지지난주에 국회서 청문회 했다는 애니메이션 편당 제작비를 천만원에서 삼천으로 올리자는 제안이나 좀 어떻게 하고 난 다음에 뭘 얘기했음 좋겠네요 -.-....
    (뒷쪽거에 대한 부연설명을 하자면 방송국에서 내는 방송료에 대한 부분 현행은 편당 천만원이라 합니다. 모자라는 부분은 일본식 제작위원회 투자 내지는 현물 투자)
  • Han 2014/04/27 18:45 # 답글

    세금이 좀 아깝긴 하지만 여타 삽질에 비하면 그렇게 큰 돈도 아니고,
    꾸준히 지원하다보면 뽀록이라도 터져서 잘 나오는 작품이 나올지도 모르죠.
    물론 기대는 안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블랙)

5801026
6576
36707573

놀이터 안내판

본 블로그는 완전히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며, 홍보성 게시물은 영리나 비영리를 불문하고 즉시 삭제됩니다. 본 블로그에서 개인적 감상 및 리뷰 작성을 위해 인용된 글이나 이미지 등의 저작권은 모두 원저작자에게 속해 있습니다. 그 인용을 통해 어떤 경제적 이익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요청이 있을 시 즉각 삭제합니다. 본 블로그의 게시물 중에서 독자적으로 창작한 내용들은 출처를 밝히시고 문맥 등을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를 자유롭게 인용하셔도 좋습니다. 특히 텍스트를 그대로 복사해 가실 경우에는 출처로 링크를 꼭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2ch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등은 저에게 아무런 권리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퍼가셔도 이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