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4회 일본 SF 대회에서 '한국 SF 입문'이라는 발표가 있었다고 합니다.

어째서 한국에서는 SF가 유행하지 않는 것인가? (IT 미디어 기사 보기)

2015년 8월 29일 - 30일에 개최된 '제 54회 일본 SF 대회'에서는 '한국 SF 입문'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그 프로그램에서 한국측 전문가에 의해
발표된 내용이 일본쪽 인터넷 뉴스에 소개되었더군요. 그 발표에서는 '한국에서
지금까지 나온 SF로 분류되는 소설은 불과 책장 하나에 다 들어갈 정도'라는 언
급과 함께, 한국에서는 왜 이렇게 SF가 유행하지 않는 건지에 대한 분석이 제시
되었답니다.

기사의 내용에 따르면, 한국측 전문가는 '한국에서 SF가 유행하지 않는 이유'로
'유교 문화'의 영향을 들었다고 합니다. 즉, 공자는 '이상한 힘' '초자연적인 일'
을 말하지 않도록 가르쳤고, 그 영향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지금'(즉, 현실)을
보는 사람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공상적인 소설은 '어른이 볼 게 아니다' '이상
한 이야기다'라고 받아들여진다는 취지의 분석이 제시되었다고 하네요.

그러면서 '2009 로스트 메모리즈' '지구를 지켜라' '괴물' '설국열차' '별에서 온
그대' 같은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한국에도 유명한 SF가 있잖아?'라고 생각할
지 모르겠으나, 그런 작품들은 한국에서는 'SF'가 아닌 '액션' '연애' '코메디'로
분류된다는 내용의 언급도 나왔다고 합니다. 또한 5년 정도의 세월에 걸쳐서 막
대한 예산을 투자하여 만든 SF 애니메이션 '원더풀 데이즈'의 대실패 사례도 소
개되었다고 하네요.

발표에서는 '한국에서는 SF 장르에서 1000권 팔리면 많이 팔리는 편'이라면서,
SF 잡지도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작품을 쓴다고 해도 실어주는 책이 없기 때문에
쓰는 사람이 적다는 언급도 나왔답니다. 다만, 일본에서는 SF 인구가 고령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비해, 한국에서는 훨씬 젊은층이 중심이 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라
는 얘기도 나왔답니다.

우리나라에서 SF가 유행하지 못하는 게 '공자의 가르침'의 영향 때문이라는 분석,
그리고 언뜻 성공한 한국 SF 영화 (또는 드라마)처럼 보이는 작품은 사실은 SF라
는 장르가 아닌 다른 장르로 분류된다는 분석, 이런 분석을 여러분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설국열차'나 '괴물' 정도면 괜찮은 SF라고 생각했는데, 사실
은 SF로 분류되지 않는다니... 좀 놀랐습니다.)

http://www.comecon.jp/ja/program/sub/p54_5048.html

참고로, 이건 일본측 홈페이지에 올라온 해당 프로그램의 소개입니다.

덧글

  • 한국인 2015/08/31 19:30 # 삭제 답글

    한국인이라면서 철저하게 일본인의 시선에서 보여진 한국SF 평가네요.
  • 뭐랄까 2015/08/31 19:58 # 삭제 답글

    적어고 설국열차를 볼때 sf영화를 본다고 생각하고 보지는 않는다고 생각함
    Sf물이라는 인식이 중요한듯
  • 쩌글링 2015/08/31 20:17 # 삭제 답글

    대형 서점을 둘러봐도 SF관련 서적은 찾아보기가 힘들죠.
    유교의 영향이라기보다 꿈을 꾸는 것조차 막연한 현실이 문제가 아닐까 자책해 봅니다.
    베스트셀러에 들어가는 부류가 자기계발서란 점도 있고...
  • 그저 2015/08/31 21:04 # 삭제 답글

    유교 문화 때문이라면 양판소가 한해 수백 작품씩 찍혀 나오고 라노벨이 주간 판매 베스트에 들어가는 건 뭘로 설명할건지...양판소는 지금 일어나는 현실적인 일만 다루나? 한국에서 유독 SF가 인기 없는 건 저런 이유는 아닌 듯.
  • 존다리안 2015/08/31 23:59 # 답글

    저도 유교문화 때문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좀 의문스럽다는 생각입니다.
    중국만 해도 드디어 휴고상을 수상했고 일본도 실은 에도시대에 성리학이 중흥한 (그리고 그 성리학이
    일본 국가주의의 기반을 제공한 어두운 역사도 있지만...) 엄연한 유학의 영향을 받은 나라인데
    SF는 충실히 발전했지요.

    실은 한국 SF의 퇴조를 말하기 전에 한국 서브컬처 전반의 문제를 지적하는 게 나았을 듯 합니다.
  • paul 2015/09/01 00:50 # 삭제 답글

    원더풀데이즈는 기껏 잘만들어놓고 성우로 망친 대표적인 사례라...
    일본 개봉할땐 재더빙을 잘 해놔서 다른작품이라고 볼정도로 바뀌어서..

    제작비를 본편에 다 쏟아붓는 바람에 광고할 예산이 남지 않았을수도..
  • 표도기 2015/09/01 02:11 # 삭제 답글

    아! 벌써 일본에서 기사로 소개되었군요.
    기획을 진행한 전홍식입니다. SF&판타지 도서관 관장이죠.^^
    비행기 시간 관계상 아직 일본에 있어서 소개된 걸 몰랐는데, 이렇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기획 내용은 1시간 반에 이르렀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내용이 진행되었는데, 위에 분 말씀대로 일본분들께는 유교가 매우 강조되어 들린 모양이군요.(사실은 '책을 안 읽고 읽을 시간도 없다.'라는걸 좀 더 강조했습니다만.^^) 내년에도 기획을 진행할 예정인데, 좀 더 많이 보완해야 겠습니다.

    저로서는 일본에 한국의 SF를 소개한 것에 일단 만족합니다. 분석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이견이 있을 것이고,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다양한 의견이 오가야 그만큼 토의가 이루어지고 의견 자체도 발전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다만, 한국SF가 퇴조했다고 이야기한 일은 없습니다. 분명히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젊은만큼 힘이 있고 발전할 가능성이 많다라고 말했지요(사실은 제가 아는 분과 함께 번역해서 가져간 한국 SF 소설을 읽은 분들의 평이기도 합니다만.)

    어찌되었든, 이런 얘기에 좀 더 많은 분이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다음 SF 대회 때는 저말고 다른 분도 참여하지 않겠습니까? 굉장히 즐겁고 재미있는 자리랍니다.^^ 물론 한국에서 그러한 행사를 여는 것도 중요하지만 말입니다.(일단 내년에 개최를 준비 중이니, 그 자리에 각자 오셔서 이야기하시면 좋겠습니다. 저 이외에도 많은 SF 팬들이 참여하겠지만요.)
  • 고독한별 2015/09/01 02:12 #

    아, 표도기님께서 직접 오셨군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 고독한별 2015/09/01 03:15 # 답글

    http://www.joysf.com/4839465

    아참, 조이SF에 본 포스팅의 상당 부분을 그대로 복사해서 올리신 분. 1차 출처
    는 IT 미디어의 기사입니다만, 본 포스팅은 해당 기사의 내용을 보고 나름대로
    정리해서 올린 것이므로, 작은 수고를 인정해 주신다면, 제 블로그를 2차 출처로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lberre 2015/09/01 04:33 # 답글

    저도 일본에서 7년가까이 살다 귀국했는데 역시 일본에서 보는 한국이라는건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그도 그럴게 현재 일본인들중 한국은 관심대상국중 하나인것에는 틀림이 없지만 우리가 보는 입장과는 확실하게 다르죠(역사 라던가 사죄빼고도) 심지어는 중국인들과도 얘기하면 이런점이 많이다릅니다. 유교 특히 성리학 중심으로 조선시대가 600년 특히 일본에서는 이씨조선으로 오랜기간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그런지 문화가 유교중심이라는게 강하죠. 일본도 유교 문화가 없는건 아닌데 우리나라랑 좀 다른데다 일본은 제삼자에서도 평가하는 사람도 있어 의견이다분다분 합니다.

    SF가
    왜 안통하는 지는 잘설명을 못하겠습니다만 한국인들은 가공 설명등에서도 처철하게 현실적인걸 반영해서 라고 봅니다. 예를들어 작품 설정에서 일본은 대체로 주인공이 선이든가 선에 가깝게
    표현돼는데 한국은 중립에서 선인지 악인지 애매모호 한편이 많다고 봅니다(특히 영화)
  • 달에서빔 2015/09/01 08:46 # 답글

    '지금'(즉, 현실)을 보는 사람이 대부분이며. <- 격공
    그리고 역사관련도 중요하게 여기죠.
    '가상'을 별로 보고있지 않는것 같습니다.
  • 전홍식 2015/09/01 12:48 # 삭제 답글

    유교가 중국에서 탄생하여 일본에 전해졌지만, 일본에서 유교는 절대로 중심이 아니었고, 중국 역시 통치는 법가, 서민은 도가(정확히는 도교)의 영향이 훨씬 강합니다. 성균관이라는 대학교에서 공자의 생일에 학교를 쉬는 일은 적어도 일본, 중국에서는 없겠지요.^^

    저희 집은 이른바 '종가댁'입니다. 오래 전부터 이런 쪽의 여러가지를 많이 보고 자랐는데, 한국의 어르신들 사이에서 유교의 영향이 강하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물론 지금 이 순간만을 보고 있는건 유교의 영향만은 아니지만, 그걸 무시할 수 없다고 할 수 없겠지요. 게다가 한국은 미래를 대비할 필요성이 작은 나라이기도 했습니다. 왕조가 500년, 600년씩 이어지면서 사회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도 있었지요.

    한편으로 '책' 자체를 안 보고, 마음과 시간의 여유가 없기 때문에 취미 활동을 잘 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취미를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이도 많고, 소설 같은 책을 보는건 더더욱 시간 낭비로 생각하기도 하죠. 심지어 인문학과 관련된 책들조차 흥미가 있어서가 아니라 "필요해서" 보지 않습니까?

    좀 더 자세한 것은 역시 일본 SF 대회 참가 내용에 대해 정리하면서 기술해야 겠네요.

    위에 alberre님의 의견도 감사합니다.

    (고독한별 님의 포스팅에서 제가 도움을 얻고 있네요.^^)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블랙)

6081026
6576
36707601

놀이터 안내판

본 블로그는 완전히 비영리 목적으로 운영되며, 홍보성 게시물은 영리나 비영리를 불문하고 즉시 삭제됩니다. 본 블로그에서 개인적 감상 및 리뷰 작성을 위해 인용된 글이나 이미지 등의 저작권은 모두 원저작자에게 속해 있습니다. 그 인용을 통해 어떤 경제적 이익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요청이 있을 시 즉각 삭제합니다. 본 블로그의 게시물 중에서 독자적으로 창작한 내용들은 출처를 밝히시고 문맥 등을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를 자유롭게 인용하셔도 좋습니다. 특히 텍스트를 그대로 복사해 가실 경우에는 출처로 링크를 꼭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2ch에서 가져온 사진이나 그림등은 저에게 아무런 권리가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퍼가셔도 이의가 없습니다.